주차 문제, 요즘 진짜 심각하죠. 아파트나 골목길 주차 자리를 두고 다툼 나는 거, 한두 번 본 게 아닐 겁니다. 그래서 그런지 ‘보복 주차’ 같은 것도 요즘 자주 등장하는데요. 그런데 이게 단순히 예의 문제를 넘어서 ‘처벌’까지 갈 수 있다는 거, 알고 계셨나요?
오늘은 ‘차량을 막아놨다’, ‘차에 스티커 붙였다’ 같은 행동이 실제로 재물손괴죄로 처벌받는 상황이 어떤 경우인지, 그리고 고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, 실전 정보 중심으로 쏙쏙 알려드릴게요.
“차 맨 앞에 딱 붙여놨다고요?” 그거도 처벌될 수 있습니다
많은 분들이 “차를 부순 것도 아닌데 뭘 처벌까지 해?”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. 근데 형법 366조, 재물손괴죄 조항은 생각보다 폭넓습니다.
여기서 중요한 표현이 바로 ‘효용을 해한 경우’예요. 이게 무슨 뜻이냐면, 물건을 완전히 망가뜨리지 않아도 쓸 수 없게 만들기만 해도 손괴가 된다는 겁니다.
예를 들어볼게요:
- 주차된 차 앞에 바짝 주차해서 움직이지 못하게 만든 경우
- 누군가 내 차에 본드로 경고문을 붙여서 흔적이 남은 경우
- 차량 문에 낙서를 했거나 테이프를 감아서 보기 흉하게 만든 경우
이런 게 다 처벌 가능한 손괴로 인정된 사례들이에요. 차 자체를 부수지 않았더라도, ‘정상적으로 쓸 수 없게’ 만들었다면 손괴로 보는 거죠.
이건 꼭 기억하세요: 재물손괴죄는 단순히 ‘부쉈냐 안 부쉈냐’가 아니라, ‘제대로 쓸 수 있느냐’를 기준으로 따집니다.
“실수였어요”는 빠져나갈 수 있을까?
여기서 또 중요한 게 고의성입니다. 재물손괴죄는 고의가 있어야 처벌이 됩니다. 일부러 그런 게 아니라 실수로 긁었다거나 몰랐다는 식이면 형사처벌은 어렵지만, 민사 손해배상은 따로 물 수 있어요.
하지만 대부분의 사건에서는 상대방이 “몰랐어요”, “고의 아니었어요” 하고 나오기 때문에, ‘고의였다는 걸 입증하는 자료’가 꼭 필요해요. 예를 들어:
- 분명히 내 차를 막을 자리가 아닌데 일부러 막아놨다
- 이전에도 경고했는데 계속 반복했다
- CCTV에서 일부러 붙이고 가는 모습이 찍혔다
이런 정황이 있으면 고의성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고소장 쓸 때, 가장 중요한 건 ‘이거’입니다
재물손괴죄로 고소를 하려면 그냥 “열받았어요”로는 안 됩니다. 법은 ‘증거’가 우선입니다. 특히 재물손괴는 피해 사실을 입증하는 게 핵심이에요.
✅ 사진/영상 증거
차량이 손괴된 당시의 사진, 막혀 있었던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 등은 필수입니다. 수리해버리기 전에 꼭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세요.
✅ CCTV 확인
현장에 CCTV가 있다면 수사기관에 요청해서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. 사적인 촬영보다 공신력이 큽니다.
✅ 수리 견적서·감정서
차에 붙인 본드 때문에 도색해야 한다면, 수리 견적서를 받아 놓으세요. 얼마나 손해가 발생했는지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.
이건 실전에서 써먹는 팁입니다: ‘고의가 있었고, 손괴가 있었고, 그로 인해 피해가 생겼다’ 이 세 가지가 증거로 명확해야 고소도 수사도 제대로 이뤄집니다.
합의금, 얼마가 적정한가요?
합의금은 ‘얼마면 딱 정해지는 금액’이 아니라, 손괴 정도 + 피해자 입장 + 가해자의 태도까지 모두 반영해서 결정됩니다.
📌 수리비 + 렌트비 + 정신적 피해(위자료)
- 차량 수리비
- 수리 중 대체 차량 비용(렌트카)
- 이동 불가로 인한 교통비
- 스트레스 등 위자료
📌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?
- 손괴 시점의 차량 시세
- 플러스 위자료
경찰 단계에서 합의하면 기소 유예나 처벌 감경 가능성도 있습니다. 그래서 가해자 입장에서도 빨리 합의하려는 경우가 많고, 피해자는 그걸 활용할 수 있어요.
변호사 도움, 꼭 필요한가요?
무조건 변호사를 선임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엔 상당히 유리합니다:
- 상대방이 계속 “고의 아니었다”고 잡아떼는 경우
- 피해 금액이 크고, 합의가 어려운 상황
- 증거가 명확하지 않아 법리적 다툼이 예상될 때
이럴 땐 변호사가 고의성 입증이나 법리 정리, 합의 협상 등에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특히 상대방이 버티기에 들어갔다면 ‘법적으로 이길 수 있는 그림’을 짜는 데 도움을 받는 게 좋겠죠.
마무리하며: “이런 일 생기면, 이렇게 하세요”
- 차량 손괴나 막는 행위, 바로 사진/영상으로 남기세요.
- 증거 수집 전엔 수리하지 마세요.
- 현장 CCTV는 경찰 통해 꼭 확보하세요.
- 고의가 핵심! 정황 증거도 꼼꼼히 모으세요.
- 고소는 가능하지만, 민사와 형사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.
작은 갈등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입니다.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단, 증거 확보하고 차분하게 고소 절차 준비하는 것, 그게 결국 내 권리를 지키는 길입니다.
✅ 아래에는 함께 보면 좋은 글: